왜 2025 대선 투표용지엔 기호 3번이 비어 있는가
“1번, 2번… 4번?”
투표용지를 받아든 순간, 많은 이들이 고개를 갸웃했다.
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선거.
선거일이 다가오며 많은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고민하고 있을 때, 정작 투표용지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‘결번’이었다. 기호 3번이 텅 빈 채 남겨진 이례적인 상황은 단순한 착오나 인쇄 오류가 아니다. 이는 정당 간 연대와 선거 전략, 선거법의 구조가 만들어낸 정확한 결과다.
기호 3번이 비어 있는 이번 대선. 그 공백을 바라보며 우리는 질문해야 합니다. "나는 이 판의 플레이어인가, 관전자에 불과한가?"
당신이 선택하지 않으면, 대신 선택할 누군가가 있습니다.
🔎 기호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– 법이 정한 질서
공직선거법 제150조에 따라 후보자들의 기호는 국회 의석수에 따라 순번이 매겨진다.
- 원내 정당은 의석수 순으로 기호 배정
- 원외 정당은 정당명 가나다 순
- 무소속 후보는 무작위 추첨
즉, 조국혁신당은 제3당으로서 기호 3번이 예정되어 있던 정당이었다. 그러나 해당 정당이 후보를 내지 않음으로써, 기호 3번은 공란으로 남게 된 것이다. 이는 처음부터 설계된 전략이었다.
🧩 조국혁신당의 ‘기권’이 아닌 ‘계산된 연대’
2025년 5월 11일, 후보 등록 마감일. 조국혁신당은 끝내 대선 후보를 내지 않았다. 표면적으로는 불참이지만, 본질은 명확하다. 정권교체를 위한 전략적 후퇴다.
- 조국혁신당은 공식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지지 선언
- 진보당 김재연 후보 역시 불출마 후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
이로써 진보 진영은 명확한 단일화를 완성했다. 즉, 기호 3번은 정치적 공백이 아닌, 의도된 ‘비움’이다.
🗳️ 기호와 후보 – 2025 대선 후보 정리
기호 | 후보 | 정당 |
---|---|---|
1번 | 이재명 | 더불어민주당 |
2번 | 김문수 | 국민의힘 |
3번 | ❌ 결번 | 조국혁신당(불출마) |
4번 | 이준석 | 개혁신당 |
5번 | 권영국 | 민주노동당 |
6번 | 구주와 | 자유통일당 |
7번 | 황교안 | 무소속 |
8번 | 송진호 | 무소속 |
3강 구도는 이재명, 김문수, 이준석 후보로 좁혀지고 있다. 단일화에 따라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상승세를 보이며, 이준석 후보는 중도층 공략을 강화 중이다.
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기호 3번에 도장 찍으면 어떻게 되나요?
▶ 무효표 처리됩니다. 반드시 유효한 후보 번호(1, 2, 4~8번)에 기표하세요.
Q2. 무소속은 왜 뒤쪽 번호인가요?
▶ 무작위 추첨 방식에 따라 7번 이후 번호를 받습니다.
Q3. 진보 단일화가 왜 중요한가요?
▶ 표의 분산을 막고, 보수 후보와의 1:1 구도를 만들기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.
Q4. 결번은 앞으로도 생길 수 있나요?
▶ 물론입니다. 의석을 가진 정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언제든 기호 결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🧠 숫자 하나에 담긴 정계의 시그널
기호 하나가 빠졌을 뿐인데, 정치의 맥은 완전히 달라졌다. 그 빈칸은 지금 우리 정치가 어떤 방향으로 계산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. 진보 진영의 단일화는 전략적이었고, 그 결정은 투표용지에 고스란히 드러난다. 이것은 단지 종이 한 장에 찍힌 숫자가 아니다. 표심을 예측하고, 연대를 조율하며, 정권의 향방을 바꾸려는 전략 그 자체다.
🗓️ 유권자가 알아야 할 실질 정보
- 사전투표일: 2025년 5월 29일(목) ~ 30일(금), 오전 6시 ~ 오후 6시
- 본투표일: 2025년 6월 3일(화)
- 사전투표소: 전국 어디서든 가능 (지정 투표소 필요 없음)
댓글